-
WBS(Working Break Structure)란?
작업을 쪼개놓은 구조라는 뜻 같은데, SI에서 제안서에 따라서 해야 할 작업을 나누고 언제부터 언제까지 진행되는지 칸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같은 것이다. 간트차트 비슷하게 생겼는데, 개발자용이라기 보다 고객에게 보고하는 용도로 보면 된다. 물론 개발자에게 “내일까지 하기로 하셨잖아요?” 하고 꾸사리를 주는데 사용되기도 하고, WBS를 개발자가 직접 만들고, 그에 맞춰서 작업 하라고 하기도 한다. 특히 10여년 전에 PM이 술상무…
-
제안서는?
SI에서 제안서는 RFP(제안 요청서)에 따라서, 해당 항목들을 어떤 기술로, 어떻게 만들어 줄 것인지 제안하는 문서이다. 물론, 일반적인 사업에서의 제안서도 상대가 요구하는 제안 요청에 따라서 쓰는 경우가 흔하고, 사업상의 대표가 “우리의 제품은 이렇고, 귀 회사에서 도입을 하게 되면 비용 절감효과가 …” 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SI는 하나의 프로젝트가 사실상 하나의 사업이기 때문에, 이 사업을 진행시켜 나가는…
-
RFP(제안요청서)는?
RFP는 Request for Proposal 의 줄임말이다. SI는 뭐든지 줄여놓는 것을 좋아하지만, 모든 단어들을 외우고 있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캐어 묻지 않는 것이 좋다. 잘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공감할 때 보다 조금 느리게 고개를 끄덕이고 나중에 혼자서 찾아보는 것이 미덕이며 매너가 되어 있는 듯한 느낌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단어들을 자주 잊어 먹는다. SI는 자체로, 기존 시스템에 무언가를…
-
ISP란?
보통 ISP라고 검색을 하면,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나온다. 하지만, SI에서의 ISP는 Information Strategic Plan 을 말한다. 모든 업계에서 고인물이 되면, 일반적으로 ‘윗대가리’가 되어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는 꼰대가 되게 되어 있는데, 이 개발 업계에서는 컨설턴트라는 role이 그런 자리를 공식화 해 놓은 것이다. 컨설턴트는 주로 개발 전체에 대해서 아는척을 하는 자리인데, 회사나 공공기관의 시스템을…
-
SI 란?
SI는 System Integration의 약자이다. 그런데, SI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이 말이나 뜻을 알지, 일반적인 사람은 거의 모르는 말일거라 생각한다. 나 자신이 프로그래머가 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이 말을 몰랐고(당시엔 사회적으로 잘 쓰지 않았을 때였던 듯 하다), 알게 되고 나서도 SI가 왜 SI인지 아는데 까지 시간이 걸렸었던 것 같다. 말 그대로 해석하면, 시스템 통합을 하는…
-
첫 글 입니다.
김선경 워드프레스 계정을 만들었어요. 어제 무리 해서 매우 졸리네요. zZ 오늘은 2021년 11월 8일 월요일 이고, 시간은 19:32 입니다. popo is good!
-
일단 CMS는 무난하게
word-press는 블로그를 쓰다 말다 하게 되는 것 같지만, 일단,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아서 설치했다. 안 보는 사이 많은 것이 변한 듯 하지만, 목표가 글을 쓰는 것이라면 혹은 CMS가 필요한 것이라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물론, 네이버 블로그나 facebook과 같이 알려지기 쉬운 방법 같은 것은 모자라겠지만, 필요한 것이 있으면 사람들은 알아서 찾아 보겠지.…